3월 23일, 23차 투자방향 점검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FOMC 회의와 Powell 기자 회견이 있었나요??

모두 아시다시피 25bp 상승했습니다.

혹시 모르니 간략하게 투자방향을 요약해서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1. FOMC 회의 요약

① 만장일치로 +25 BP. 9회 연속 인상. 기준금리 4.75% → 5.00%

② 산점도 기반 기준금리 예측
23년 5.1%(-)
24년 4.3% (+0.2%p)
25년 3.1%(-)
장기 2.5% (-)


(그림 1) 2023년 3월 산점도

예. 도트 차트를 보면 장기 금리 인하가 2.5%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부터 평균 4.3%, 즉 이 5.0% 기준으로 0.7%p 낮출 계획이다.


(1 번 테이블). 연준 경제 전망

이것은 Fed의 경제 전망 데이터입니다.

올해 핵심 PCE는 3.6%(y/y)로 하락하고 실업률은 4.5%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질 GDP는 YoY 0.4%로 침체를 예상합니다.

2. 가격 전망

여전히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가격을 살펴보자.

잘 알려진 CPI 기준을 먼저 살펴보면,


(그림 2) CPI와 핵심 CPI

CPI는 확실히 하락 추세에 있습니다.


(그림 3) 공급제약 지수와 OECD 평균 CPI

공급망 문제도 완전히 해결되었습니다.


(그림 4) 주택가격지수

미국 부동산 가격도 하락세다.


(그림 5) 주거비

지금까지는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주거비(월세)가 올랐다.

사실 주택 비용은 집값 상승(인플레이션)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을 통해 주택을 구입하는 것을 감안하면 금리가 오른 것이 전세가격 상승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꽤 많이.

위의 (그림 5)를 보면 30년 모기지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주택 가격 지수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상이 유예된다면 현시점에서 주거비 상승도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로 Core CPI의 약 60%가 주거비입니다.)

아무튼 여러 각도에서 인플레이션은 통제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 수준을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것이 가능하다.


(그림 6) 물가연동채 금리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을 보면 1~2%대였던 것이 이제 2~3%대에서 새로운 평균을 찾았습니다.당신은 그것을 참조하십시오

즉, 이는 연준의 2% 목표가 달성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장기 채권 전망 및 TLT 목표주가 설정

투자 포인트를 모아야 하는 곳입니다.

1. 가격이 떨어졌다.

2. 그러나 시장에서는 물가 수준이 기존보다 1%p 높은 2~3%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3. 그렇다면 장기채권은?

질문 3은 장기 채권 금리 프리미엄(DKW 모델)에 대한 내 게시물을 읽으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2023년 투자 전략: 주식 상승, 채권 상승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2023년 주가전망을 쓰면서 1월 말, 2월 말, 3월 말, 4월까지 분할매수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200선을 여러 번 돌고 있습니다.

bbodaemakeslife.tistory.com

요약하자면, 장기 이자율에는 인플레이션 위험과 동일한 추가 이자율이 적용됩니다.보지마.

즉, 10년 만기 장기 금리라면 기존 기준금리 0% 대비 최저 금리 스프레드를 나타내는 약 1% 정도 높은 금리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정확하지는 않고, 연준이 TIPS 채권을 통해 예상 인플레이션을 조정할 때 크게 달라질 수 있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은 현재 10년 금리를 3.45%에서 1.6%(이전에는 0.6%) 인상으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금융 위기의 경우, 즉, 1.85%p의 투자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하다.

tlt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tlt의 듀레이션은 17.8년으로 10년 채권과 정확히 관련되지는 않지만 20년 채권과 더 비슷하지만 대략 비슷하다고 가정하면 금리가 낮아지면 약 33%의 예상 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 $105에서 약 $140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그림 7) TLT 가격

삼성증권의 MTS로 차트를 확인해보니 검은선으로 표현한 부분까지 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LT 가격 목표를 약 140달러로 설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 금융위기 가능성 고려

다음으로 금융위기의 가능성을 살펴보자.

1) 미국 가계부채 비율


(그림 8) 비가계부채 비율

예. 꽤 낮습니다. 약 13%입니다. 미국 가정은 안전합니다.

2) 은행 자산 감사


(그림 9) 미국 은행 자산

미국 은행 자산을 살펴보겠습니다.

대형은행들의 자산은 코로나 이전 수준이라 아직은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작은 은행들은 사실 코로나 이전 수준이니 그렇게 보면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런데 이 사람들이 코로나 이후에 투자를 많이 했으니 이제 그게 문제가 되나?

재정 건전성을 돌봐야 합니다.

무엇을 봐야 할까요?

잘 모르겠네요.. 지금 생각나는건 부실대출, 적립금, 예금보험의 존재…

실제로 옐런 재무장관도 예금 보장을 언급했고, 연준은 ‘재할인 창구’와 새로운 대출 프로그램인 ‘BTFP’를 신설해 돈을 빌려주고 있어 큰 문제는 없어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게시물을 참조하세요.

BTFP가 양적 완화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상승합니까?

안녕하세요. BTFP가 양적완화(QE)라고 주장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오늘 글을 씁니다. BTFP(Bank Term Funding Program)는 연준의 새로운 대출 창구로 도입되었으며 이것이 연준의 통화 풀이기 때문에

bbodaemakeslife.tistory.com

뱅크런 없는 세상

안녕하세요. 재닛 옐린(Janet Yellin) 미 재무장관이 미국 내 중소형 은행의 예금을 보증하겠다고 밝힌 것과 동시에 페드워치가 예상하는 금리 경로가 바뀌었다. 현재 3월 25bp 인상 가능성은 70%가 넘는다.

bbodaemakeslife.tistory.com

문제는 부실채권이 있느냐 없느냐… 그래도 크레디트스위스 인수 과정에서 AT1채권과 코코채권이 종이조각이 되면서 논란이 있었죠?

자본의 일종의 신스톡으로 대부분 채권이지만 주식이기도 하고, 그런 이상한 놈인데 주로 무손실 채권이 아니다.

부실대출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문제는 모든 은행이 이 채권에 다 투자한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뱅크런이 아닌 채권런의 출발점이 되지 않을까요?

하지만 아직 아무것도 모른다…

우선 연준과 재무부는 지금까지 문제를 아주 잘 처리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점도표를 보면 현재의 높은 금리가 내년까지 유지되겠지만 이미 문제가 생기고 있지 않나요?

금융위기가 무조건 오지 않는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 문제는 어디서 터질지 모르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4. 금융위기가 온다면 언제 올 것인가?

다른 글에서도 말씀드렸고, 지인들에게도 늘 하시는 말씀인데…

이는 연준의 금리 차트를 보면 분명해집니다.


(그림 10) FED 기준금리

(그림 11) 경기선행지수 CLI: 미국

회색 음영은 경기 침체를 나타냅니다.

2000년대 초반 IT 버블, 2000년대 후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2020년 코로나 위기.

이들의 공통점은 경기침체가 금리인하 이후에 왔다는 점이다.

기준금리 인하로 선행지수도 하락했죠?

상식적으로 금리를 내린다는 것은 경기를 부양한다는 뜻인데 정확히 그 반대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경제가 무너지고 있어서 부양책이 출시되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금융위기 다시 닥치면 금리 인하 그것은 의미합니다

그래서, 언제 오세요?

첫째, 점 차트에 따르면 FOMC 연준 위원들은 24년에 천천히 금리를 인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천천히 금리를 낮추는 것은 금융위기가 오지 않는다는 뜻이니 천천히 진행되겠죠?

그러나 연준은 믿을 수 없다.

파월 의장은 발언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인플레이션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위의 내용을 보면 가격이 문제가 아니다.

나는 눈을 가리고 물을 더 받으라고 비명을 지르고 있기 때문에 그냥 무시합니다.

금리를 살펴보자.


(그림 12) Fed Funds 선물 금리 추세 및 FED Dot Plot

(그림 13) 연준, 금리 전망 관찰

올해 6월부터 인하될 예정입니다.

시장은 이번 여름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지금 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연말까지 높은 금리를 유지한다면 2008년과 같은 금융 붕괴로 이어질 수 있을까?

이번 여름에 한번 가봐야겠습니다.

어쨌든 금리 인하는 정해진 절차이기 때문에 채권 가격은 오를 것이다.

나는 기사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릴 것이다.


1. 인플레이션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2% 인플레이션 목표는 여전히 어려울 것이며 인플레이션이 2-3%에서 안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2. 장기 채권은 여전히 ​​매력적이다.

3. 올여름 금융위기가 금리인하를 동반할지 여부는 지켜보고 대응할 문제다.


감사해요